|
|
3월, 금관국 수로왕 즉위하여 가락국(금관국)
건국.(유사) 대가야의 시조 이진아시왕 (伊珍阿?王·
일명 惱窒朱日)이 즉위하여 대가야국 건국.(승람) |
|
|
금관국 수로왕, 신답평(新畓平)에 도읍을 정함.(유사) |
|
|
금관국, 궁궐과 관사를 낙성함. 수로왕, 신궁으로 옮겨
정무를 봄. 탈해(탈해)가 나타나 왕위를 쟁탈하려 하자 수로가 싸워 계림(鷄林)으로 쫓아냄.(유사) |
|
|
아유타국(阿鍮陀國) 공주 허황옥(許黃玉)이 금관국에 오자
수로왕이 그녀와 혼인함.(유 사) 금관국, 9간(干)의 명칭을 고침.(유사) |
|
|
가야, 신라의 아찬(阿?) 길문(吉門)의 공격을 받아
황산진(黃山津) 어구에서 싸웠으나 1천여명이 사로잡힘.(사기) |
|
|
7월, 신라 파사왕(婆娑王)이 백제와 가야의 침공에
대비하여 가소(加召), 마두(馬頭)의 두 성을 쌓음.(사기) |
|
|
2월, 가야, 신라의 마두성을 에워쌌으나 아찬
길원(吉元)의 공격을 받아 물러남.(사기) |
|
|
9월, 가야, 신라의 남쪽 변경을 공격하여
가성주(加城主), 장세(長世)를 죽였으나 신라 파사왕이 보낸 5천 병력과 싸워 패배함.(사기) |
|
|
정월, 가야, 신라 파사왕이 군사를 일으켜 치려 하자,
사신을 보내어 사죄함.(사기) |
|
|
8월, 금관국 수로왕, 음즙벌국(音汁伐國)과
실직곡국(悉直谷國)이 영역 싸움을 하자 신라의 요청을 받아 해결에 참여하여 문제된 땅을 음즙벌국의 것으로 판정함. 이때 신라 파사왕이
수로왕을 대접. 5부에서는 이찬(伊?)을 파견하였으나 오직 한기부(漢 祇部)만 직위가 낮은 자를 보내자 화가 난 수로왕이
한기부주(漢祇部主) 보제(保齊) 를 죽이고 귀국함.(사기) |
|
|
8월, 신라 파사왕이 마두성주에게 명하여 가야를 정벌하게
함.(사기) |
|
|
2월, 가야, 신라의 남쪽 변경을 공격함.(사기) 7월,
가야, 신라 지마왕(祗摩王)이 친히 병력을 거느리고 황산하(黃山河)를 건너 공격해 오자 그를 물리침.(사기) |
|
|
8월, 가야, 정병 1만으로 구성된 신라의 공격을 받자
성을 굳게 지킴. 때마침 비가 오 래도록 내려 신라병이 물러남.(사기) |
|
|
3월, 금관국 허황후, 157세로 사망.(유사) |
|
|
3월, 금관국 수로왕, 158세로 사망하고 세조(世祖)
거등왕(居登王)이 즉위.(유사) |
|
|
2월, 가야, 신라에 화친을 요청함.(사기) |
|
|
7월, 포상팔국(浦上八國)이 공모하여 가라(加羅)를
침범하자 가라는 왕자를 신라에 보내어 구원을 요청함. 신라 나해왕(奈解王)이 태자 우로(太子 于老)와 이벌찬(伊伐 ?) 이음(利音)을
보내어 가라를 구원하여 8국을 항복시킴.(사기) *유사에는 212년 포상8국이 아라(阿羅)를 공격한 것으로 되어 있다 |
|
|
골포(骨浦), 칠포(漆浦), 고사포(古史浦)등 3국인이
신라의 갈화성(竭火城)을 침공하였 으나 패퇴함.(사기) *유사에는 215년의 일로 되어 있다. 3월, 가야, 신라에 왕자를 보내어 볼모로
삼게 함.(사기) |
|
|
금관국 거등왕이 사망하고, 마품왕(麻品王) 즉위.(유사) |
|
|
금관국 마품왕이 사망하고, 거질미왕(居叱彌王)
즉위.(유사) |
|
|
금관국 거질미왕이 사망하고, 이시품왕(伊尸品王)
즉위.(유사) |
|
|
고구려의 광개토대왕이 보낸 병력이 임나가라(任那加羅)의
종발성(從拔城)에 이르자 성이 항복. 안라인(安羅人)으로 구성된 수병(수병)은 그에 저항.(광개토대왕릉비) |
|
|
금관국 이시품왕이 사망하고, 좌지왕(坐知王)이
즉위.(유사) |
|
|
금관국 좌지왕이 사망하고, 취희왕(吹希王)이
즉위.(유사) |
|
|
금관국 취희왕이 사망하고, 질지왕(?知王)이
즉위.(유사) |
|
|
금관국, 허황후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왕후사(王后寺)를
세움.(유사) |
|
|
가락국왕 하지(荷知)가 남제(南齊)에 사신을 파견하여
보국장군본국왕(輔國將軍本國 王)에 제수됨.(남제서) |
|
|
3월, 가야, 고구려와 말갈이 신라의
미질부성(彌秩夫城)등을 침공하자 백제와 연합하여 신라를 구원함.(사기) |
|
|
금관국 질지왕이 사망하고 겸지왕(鉗知王)이 즉위.(유사) |
|
|
2월, 가야, 꼬리가 다섯자 되는 백치(白雉)를 신라에
보냄.(사기) |
|
|
금관국 겸지와이 사망하고, 구형왕(仇衡王)이
즉위.(유사) |
|
|
3월, 대가야의 이뇌왕(異腦王)이 신라에 사신을 보내어
혼인을 청하니 신라에서는 이 찬 비조부(比助夫) 딸을 보냄. 그들 사이에 월광태자(月光太子)가 탄생.(사기, 승람) |
|
|
9월 가야국왕, 신라 법흥왕이 남쪽 국경으로 순행하여
땅을 넓혀 오자 가서 만남.(사 기) |
|
|
금관국왕 김구해(金仇亥), 왕비와 노종(奴宗), 무덕(武德), 무력(武力) 등 세
왕자를 데리고 신라에 항복함으로써 멸망. 신라는 그들을 진골로 편입시키고 본국을 식읍 (食邑)으로 삼게 함.(사기, 유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