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ng Suro and the Gimhae Kim clan
시조 수로왕과 김해김씨의 연원
김해 김씨의 연원은 [삼국유사]와 [가락 국기]에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서기 42년(중국 후한 건무18) 가락국(駕洛國)의 아홉 촌장인 아도간(我刀干), 여도간(汝刀干), 피도간(彼刀干), 오도간(五刀干), 유수간(留水干), 유천간(留天干), 신천간(神天干), 등 9간이 백성들을 통솔 하고 있었다.
그해 삼월 계욕일(음력 첫뱀날에 액을 물리치기위해 목욕을 하고 회음하는 풍습)에 구간(九干)과 백성들이 시냇가에 모여 나라를 다스릴 임금을 점지해주십사 하고 신에게 정중한 의식을 올리자 가까운 구릉 구지봉에서 이상한 소리가 들리고 오색찬란한 서광이 하늘높이 이어지고 서기가 천지에 뻗치며 자줏빛 밧줄에 분홍빛 보자기로 쌓인 금합에 여섯 개의 알이 담겨 있었다.
그 중에서도 제일먼저 화생한 동자는 현현장부의 기상이 넘쳐흘러 구간들은 놀라고 한편 기뻐서 엎디어 절을 올리며 이는 반드시 군왕을 점지해주심이라 믿어 그달 보름날 즉위식을 갖고 임금으로 받들어 모시니 이 어른이 바로 가락국시조 김수로왕(金首露王)이시다.
[김해김씨] 제1화 시조편 김수로왕(金首露王)
성(姓)은 김(金)이라 하신것은 금알에서 화생하였기 때문이며
어휘를 수로라 하신것은 여섯알중에서 제일 먼저 화생한 까닭이다. 대왕께서는 국호(國號)를 대가락(大駕洛)이라
정하시고 그 수도를 김해로 삼으시었다.
나머지 다섯 사람도 각각 가서 다섯 가야 즉 아라가야 (阿羅伽倻 * 현 함안지방), 고령가야(古寧伽倻 * 현 함창지방). 대가야(大伽倻*현 함안지방), 성산가야 (星 山伽倻*현 성주),소가야(小伽倻*현 고성지방)의 임금이 되니 동쪽은 황산강, 서남쪽은 창해, 서북쪽은 지리산, 동북쪽은 가야산이며 남쪽은 나라의 끝인 바다였다.
그는 임시로 대궐을 세우게 하고 거처하면서 질박하고 검소하니 지붕에 이은 이엉을 자르지 않고, 흙으로 쌓은 계단은 겨우 3척이었다. 군왕이 된 수로왕은 나라 이름을 가락국으로 정하고 서기 49년 아유타국 에서온 허황옥을 왕비로 맞으셨다.
그후 10대 구형왕(仇衡王)이 서기532년 신라에 양국(讓國)하고 상등의 위와 가락국을 식읍으로 받았으며, 그의 아들 세종(世宗) 과 무득(武得) 무력(武力) 모두가 각간(角干)을 역임했다. 유신(庾信)은 양왕(讓王:仇衡)구형왕의 증손이며 그의 조부는 신라의 장군 각간인 무력이고, 그의 부친은 태종무열왕의 장인이며 당대의 이름난 장군인 서현(舒玄)이다, 그의 어머니는 진흥왕의 아우인 숙흘종의 딸 만명(萬明)이다. 유신(庾信)은 신라 무열왕(武烈王)과 함께 삼국통일 대업을 달성한 명장으로 무열왕의 딸 지소 부인(智炤夫人)과 혼인하여 김해 김씨의 세계(世系)를 이었다.
김해 김씨는 중시조(中始祖) 유신의
후대에서 가세가 크게 번창해짐에 따라 148여개 파(派)로 분파되었으며, 그 가운데 유신의 직계종파는
고려의 목경(牧卿)을 중시조로 하는 경파(京派)와 그의 아우 익경(益卿)을
중시조로 하는 사군파(四君派), 관(管)을 중시조로 하는 삼현파(三賢派:金克一·金馹孫·金大有)이다.
수로왕이 즉위 7년에 아유타국의 공주인 허황옥(許黃玉, 33~189.3.1)을 왕비로 맞이하여 10남
2녀를 낳았는데 맏아들은 김씨로 왕통을 잇고 두 아들(둘째와 셋째)은 왕비의 간곡한 요청으로 왕비의 성인 허(許)씨를
주었다. 그리고 나머지 일곱 아들은 불가에 귀화하여 하동 7불이 되었다고 한다. 또한 허씨에서 갈라져 나온 인천이씨가 있으며 세 성씨가 같은
혈족이다.